맨위로가기

1982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2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일본야구기구(NPB)가 주최했으며,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올스타팀 간의 대결로 진행되었다. 1차전은 퍼시픽 리그가 승리했고, 2차전은 무승부로 종료되었으며, 3차전은 센트럴 리그가 승리하여, 1승 1무 1패의 결과가 나왔다. 각 리그의 감독은 후지타 모토시와 오사와 게이지가 맡았으며, 1차전 MVP는 후쿠모토 유타카, 2차전 MVP는 가시와바라 준이치가 수상했다.

2. 경기 개요

전년도 고라쿠엔 시리즈에서 우승하여 8년 만에 일본 시리즈 정상에 오른 요미우리 자이언츠후지타 모토시 감독이 센트럴 리그 올스타팀을 지휘했고, 퍼시픽 리그 우승을 이끈 닛폰햄 파이터스오사와 게이지 감독이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의 지휘를 맡았다.

1차전에서는 그 해까지 12년 연속 도루왕을 차지한 퍼시픽 올스타팀의 1번 타자 후쿠모토 유타카(한큐)가 1회부터 안타를 때려내며 4타수 4안타 1볼넷으로 모든 타석에서 출루하며 MVP에 선정됐다. 이어진 2차전에서는 센트럴 올스타팀이 5대 4로 1점을 리드한 채 맞이한 7회초에 사이토 아키오(다이요)가 등판했다. 1사 1루에서 가시와바라 준이치(닛폰햄)에게 동점타를 맞아 사이토는 연장 11회까지 5이닝을 던졌는데(경기는 무승부), 이는 개인으로서의 올스타전 사상 최다 투구 이닝 기록이다. 3차전에서도 4회부터 2대 2 동점으로 이어지다가 7회초에 센트럴 올스타팀이 1점을 따내며 역전에 성공, 사다오카 쇼지(요미우리), 야마모토 가즈유키(한신)가 끝까지 지키면서 센트럴 올스타팀이 승리했다. 또한 이 3차전에서는 7회 퍼시픽 올스타팀의 공격에서 무사 1, 2루 상황에서 오미야 다쓰오(닛폰햄)가 유격수 땅볼로 6-4-3 병살타가 됐지만, 송구 사이에 시마다 마코토(닛폰햄)가 홈으로 돌입을 시도했지만 터치 아웃되면서 올스타전 사상 최초의 삼중살이 성립됐다.

3경기제 올스타전이 1승 1무 1패로 끝난 것은 사상 최초이다(2013년에도 기록).

3. 출장 선수

1982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출장 선수는 다음과 같다.

센트럴 리그[2]퍼시픽 리그[2]
감독후지타 모토시 (요미우리)감독오사와 게이지 (닛폰햄)
코치고바 다케시 (히로시마)코치우에다 도시하루 (한큐)
안도 모토오 (한신)야마모토 가즈요시 (롯데)
투수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3투수에나쓰 유타카 (닛폰햄)15
사다오카 쇼지 (요미우리)첫 출장구도 미키오 (닛폰햄)첫 출장
니시모토 다카시 (요미우리)3기다 이사무 (닛폰햄)3
기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4야마다 히사시 (한큐)11
고바야시 시게루 (한신)7마쓰누마 마사유키 (세이부)2
야마모토 가즈유키 (한신)4스기모토 다다시 (세이부)첫 출장
구도 가즈히코 (한신)첫 출장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6
오바나 다카오 (야쿠르트)첫 출장야마우치 다카노리 (난카이)첫 출장
미야코 유지로 (주니치)첫 출장가네시로 모토야스 (난카이)3
가쿠 겐지 (주니치)첫 출장무라타 다쓰미 (긴테쓰)2
사이토 아키오 (다이요)3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2
포수야마쿠라 가즈히로 (요미우리)2포수나시다 마사타카 (긴테쓰)4
와카나 요시하루 (한신)5오미야 다쓰오 (닛폰햄)2
나카오 다카요시 (주니치)첫 출장나카자와 신지 (한큐)5
오이시 도모요시▲ (세이부)2
하카마다 히데토시▲ (롯데)첫 출장
1루수나카하타 기요시 (요미우리)21루수가시와바라 준이치 (닛폰햄)3
2루수시노즈카 도시오 (요미우리)첫 출장2루수오치아이 히로미쓰 (롯데)2
3루수하라 다쓰노리 (요미우리)23루수하다 고이치 (긴테쓰)2
유격수마유미 아키노부 (한신)4유격수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2
내야수기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8내야수가토 히데지 (한큐)11
오카다 아키노부 (한신)3아리토 미치요 (롯데)13
가케후 마사유키 (한신)7고노 다카유키 (난카이)3
K. 마카 (주니치)첫 출장오이시 다이지로 (긴테쓰)첫 출장
외야수야마모토 고지 (히로시마)10외야수후쿠모토 유타카 (한큐)12
마쓰모토 다다시 (요미우리)2히라노 미쓰야스 (긴테쓰)4
야마모토 고지 (요미우리)첫 출장시마다 마코토 (닛폰햄)4
스기우라 도루 (야쿠르트)2T. 크루즈 (닛폰햄)첫 출장
다오 야스시 (주니치)3오타 다쿠지 (세이부)2
나가사키 게이지 (다이요)첫 출장가도타 히로미쓰 (난카이)7
구리하시 시게루 (긴테쓰)3


  • '''굵은 글씨'''는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 ▲는 출장 사퇴 선수 발생에 의한 보충 선수.[2]

3. 1. 센트럴 리그

센트럴 리그[2]
감독후지타 모토시요미우리
코치고바 다케시히로시마
안도 모토오한신
투수에가와 스구루요미우리3
사다오카 쇼지요미우리첫 출장
니시모토 다카시요미우리3
기타벳푸 마나부히로시마4
고바야시 시게루한신7
야마모토 가즈유키한신4
구도 가즈히코한신첫 출장
오바나 다카오야쿠르트첫 출장
미야코 유지로주니치첫 출장
가쿠 겐지주니치첫 출장
사이토 아키오다이요3
오노 유타카히로시마2
포수야마쿠라 가즈히로요미우리2
와카나 요시하루한신5
나카오 다카요시주니치첫 출장
1루수나카하타 기요시요미우리2
2루수시노즈카 도시오요미우리첫 출장
3루수하라 다쓰노리요미우리2
유격수마유미 아키노부한신4
내야수기누가사 사치오히로시마8
오카다 아키노부한신3
가케후 마사유키한신7
K. 마카주니치첫 출장
외야수야마모토 고지히로시마10
마쓰모토 다다시요미우리2
야마모토 고지요미우리첫 출장
스기우라 도루야쿠르트2
다오 야스시주니치3
나가사키 게이지다이요첫 출장


3. 2. 퍼시픽 리그


  • '''굵은 글씨'''는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 ▲는 출장 사퇴 선수 발생에 의한 보충 선수이다.[2]

4. 경기 결과

1982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는 3경기로 치러졌는데, 1승 1무 1패로 센트럴 리그퍼시픽 리그가 동률을 이루었다. 이는 올스타전 역사상 최초의 기록이다.[1]

경기 결과
경기날짜구장결과MVP
1차전7월 24일고라쿠엔 구장퍼시픽 리그 7-2 센트럴 리그후쿠모토 유타카(한큐)
2차전7월 25일세이부 라이온즈 구장5-5 무승부가시와바라 준이치(닛폰햄)
3차전7월 27일오사카 구장센트럴 리그 3-2 퍼시픽 리그가케후 마사유키(한신)



각 경기의 상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4. 1. 1차전 (7월 24일, 고라쿠엔 구장)

1982년 7월 24일 고라쿠엔 구장에서 열린 1차전에서 퍼시픽 리그의 후쿠모토 유타카(한큐)는 4타수 4안타 1볼넷으로 모든 타석에서 출루하는 활약을 펼쳐 MVP로 선정되었다. 닛폰햄의 기다 이사무가 승리 투수가 되었고, 요미우리에가와 스구루가 패전 투수가 되었다. 퍼시픽 리그가 7-2로 센트럴 리그를 상대로 승리했다.

4. 2. 2차전 (7월 25일, 세이부 라이온즈 구장)

2차전에서는 센트럴 리그가 5대 4로 1점 앞선 7회초에 사이토 아키오(다이요)가 등판했다. 1사 1루에서 가시와바라 준이치(닛폰햄)에게 동점타를 맞아 사이토는 연장 11회까지 5이닝을 던졌는데, 이는 올스타전 최다 투구 이닝 신기록이다. 경기는 5대 5 무승부로 끝났다.[1]

;MVP

  • 가시와바라 준이치(닛폰햄)[1]

4. 3. 3차전 (7월 27일, 오사카 구장)

센트럴 리그퍼시픽 리그
승리 투수가쿠 겐지(주니치)패전 투수구도 미키오(닛폰햄)
세이브야마모토 가즈유키(한신)홈런가케후 마사유키(한신·3회 2점)
MVP가케후 마사유키(한신)



7회초 센트럴 리그가 1점을 따내며 역전, 사다오카 쇼지(요미우리), 야마모토 가즈유키가 끝까지 지키면서 센트럴 리그가 3-2로 승리했다.[1] 7회 퍼시픽 리그 공격에서 무사 1, 2루 상황에서 오미야 다쓰오(닛폰햄)가 유격수 땅볼을 쳤고, 6-4-3으로 이어지는 병살타가 만들어졌다. 그 사이 시마다 마코토(닛폰햄)가 홈으로 들어오려다 아웃되면서 올스타전 사상 최초의 삼중살이 나왔다.[1]

5. 방송 중계

1982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TV와 라디오를 통해 중계되었다.

5. 1. TV 중계


  • 1차전(7월 24일)
  • * '''TV 아사히''' 실황: 오타 신이치, 해설: 이나오 카즈히사, 아키야마 노보루
  • * '''NHK 종합''' (중계 녹화·스포츠 아워에 내포) 실황: 도몬 마사오, 해설: 가토 스스무
  • 2차전(7월 25일)
  • * '''TBS 텔레비전''' 실황: 와타나베 겐타로, 해설: 노무라 가쓰야, 하리모토 이사오
  • * '''NHK 종합''' (중계 녹화·스포츠 아워에 내포) 실황: 도몬 마사오, 해설: 다카다 시게루
  • 3차전(7월 27일)
  • * '''마이니치 방송'''≪TBS 계열≫ 실황: 미즈타니 가쓰미, 해설: 스기우라 다다시, 하리모토 이사오, 감독 및 히어로 인터뷰: 시로노 아키라
  • * '''NHK 종합''' (중계 녹화·스포츠 아워에 내포) 실황: 도몬 마사오, 해설: 히로세 스미코


니혼TV는 텔레비전 방송 이후 29년 동안 일본 선수권 시리즈·올스타전 중 어느 한쪽의 방영권을 획득해 왔으나, 이 해에는 개국 이래 처음으로 양쪽 모두의 중계권을 잃었다. 일본 시리즈는 세이부 대 주니치로 치러졌으며, 양 구단 주최 경기의 전국 중계는 모두 후지 계열과 TBS 계열이 실시했다(당시).

5. 2. 라디오 중계

경기방송사해설 및 기타
1차전
(7월 24일)
NHK 라디오 제1실황: 시마무라 슌지 해설: 쓰루오카 가즈토, 다카다 시게루
TBS 라디오 (JRN)실황: 와타나베 겐타로 해설: 노무라 가쓰야, 하리모토 이사오
분카 방송 (NRN)실황: 쓰키오카 이쓰야 해설: 쓰지 요시키, 벳쇼 다케히코, 나카야마 도시타케
닛폰 방송실황: 후카자와 히로시 해설: 가네다 마사이치 게스트 해설: 세키네 쥰조(다이요 감독)
라디오 일본 (독립계)실황: 시마 세키야
라디오 탄파(현 라디오 NIKKEI 제1 방송)실황: 다카하시 노부오 해설: 도이 마사히로
2차전
(7월 25일)
NHK 라디오 제1실황: 하사마 마사오 해설: 히로세 슈코, 가와카미 테쓰하루
TBS 라디오 (JRN)실황: 이시카와 아키라 해설: 스기시타 시게루, 타미야 겐지로
분카 방송 (NRN)실황: 토야 마코토 해설: 쓰지 요시키, 토요타 야스미쓰, 모리모토 기요시
닛폰 방송 (마이니치 방송에도 넷)실황: 고바야시 다쓰히코 해설: 에모토 무네키, 도이 아쓰시 게스트: 비토 다케시
라디오 일본 (독립계)실황: 하야카와 겐지
라디오 탄파 제1 방송실황: 안자이 마사미쓰 해설: 도이 마사히로
3차전
(7월 27일)
NHK 라디오 제1실황: 니시다 요시오 해설: 다카다 시게루, 가토 스스무
TBS 라디오 (JRN/아사히 방송 제작)실황: 인다 히로키 해설: 이나오 가즈히사, 노무라 가쓰야
분카 방송실황: 나카타 히데사쿠
닛폰 방송 (NRN/마이니치 방송 제작)실황: 미야케 사다오 해설: 나카니시 후토시 게스트: 이와사키 히로미
라디오 일본 (독립계/라디오 간사이)실황: 나이토 고이
라디오 오사카 (로컬)해설: 쓰지 요시키


참조

[1] 서적 オールスターゲームの軌跡 DREAM GAMES HISTORY since 1951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1
[2] 서적 올스타전의 족적 DREAM GAMES HISTORY since 1951 베이스볼 매거진사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